민주노동당이 진보정당 통합과 노동-농민 제2의 정치세력화를 추진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진보대통합 추진을 공식화 했다. 6월 지방선거 전에 대통합 합의문을 만들어 낸다는 계획이다.
민주노동당은 10일 중앙위원회의를 열고 "노동자, 농민, 서민을 진보정치 대통합의 주인으로 세우고 아래로부터의 진보정치대통합 운동을 전개하자"고 결의하고, 향후 '진보정치대통합 추진위원회'를 당 내 최고위원회 산하에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이른바 '진보대통합' 논의는 그동안 물밑에서 지속적으로 진행되긴 했으나, 공식 의결기구를 통해 논의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
 |
|
▲ 민주노동당 6차 중앙위원회(사진=권종술 기자 / 진보정치) |
민주노동당은 진보정치대통합을 위해 우선적으로 당원 중심의 활동을 전개해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이미 16개 광역시도당 간담회를 진행했으며, 보다 구체적인 당원들의 뜻을 모으기 위해 여론조사 등을 통해 총체적인 의견을 적극 듣겠다는 계획이다.
또 '노동자', '농민', '서민'을 위한 정당임을 다시 한 번 각인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이들을 '통합의 주체'로 세우는 데 주력하겠다는 방침이다. 특히 민주노동당은 민주노총 조합원이 중심이 된 '진보정당통합 10만 선언운동'을 적극 지지하면서 그 외에도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사업장을 방문해 진보대통합의 의미를 적극 설명해나가면서 '제2의 정치세력화'로 세워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1월 중에 전농, 전여농과의 정례협의회를 진행해 각계각층의 진보역량을 총결집시킬 수 있는 원동력으로 삼겠다는 생각이다.
가장 이목을 끌고 있는 진보신당 등 진보정당과의 대통합 문제에 대해서도 물러섬 없이 적극 추진하겠다는 생각이다. 1월 내 강기갑 대표를 포함한 당 지도부가 진보신당과 사회당 등 진보정당을 방문해 이번 진보정치대통합을 제안할 방침이다. 또 민주통합시민행동, 시민주권, 희망과 연대 등 진보적 시민정치조직 및 각계 원로, 오피니언 그룹과의 간담회를 통해 대통합을 실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다.
민주노동당은 오는 12일 구성되는 진보정치대통합 추진위의 위원장 및 실무자들을 최종 결정한 후 행보의 보폭을 넓히겠다는 생각이다. 향후 이러한 작업을 통해 6월 지방선거 이전에 대통합 합의문을 작성하고, 선거연합, 나아가 총선 전 통합진보정당을 출범시키겠다는 구상이다.
한편 앞서 이날 회의 모두 발언에서 강기갑 당 대표는 "진보대통합의 큰 과제를 갖고 결의를 해야 할 시대적 요구와 시점에 와 있다"면서 "이명박 정권 하에서 신음하고 고통받고 절규하고 있는 민중들을 생각하면서, 시대적 염원과 국민적 요구를 어떻게 받아안고 응답할 것인지는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밝혔다.
강 대표는 당 내부 정비에도 힘을 쏟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상생하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당은 싸움하고 투쟁하고 몸부림 쳐왔는데 그러다보니 국민들에게는 과격, 폭력 정당으로 깊게 골이 패이고 각인됐다"면서 "실질적으로 2010년 지자체 선거를 앞두고 민주노동당이 국민들에게 어떤 모습으로 다가가야 할 지 깊이 생각해 보는 시점을 맞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아픔과 고통을 감수하면서 끌어안지 않으면 안 된다는 생각으로 결의를 모으자"며 "충분한 논의와 토론을 하되 결정에 대해 다함께 승복하고 힘을 실어나갈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상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