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측의 기획된 노조파괴로 해고와 구조조정에 시달리고 있는 금속노조 소속 경북지역 사업장 노동자들이 대구고용노동청에 대한 특별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금속노조 KEC지회, 경주 발레오만도지회, 상신브레이크지회는 고용노동부 국정감사가 열리는 7일 아침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명박 대통령의 텃밭인 대구경북지역 사업장 세 곳에서 공격적 직장폐쇄, 용역깡패 동원, 조합원에 대한 감시와 협박, 어용노조 설립 등 철저히 준비된 노조파괴 공작이 똑같이 벌어졌다”며 이 같이 주장했다.
|
 |
|
▲ KEC지회가 폭로한 회사 측 상황일지. 아래 쪽에 회사가 국정원으로부터 정보를 얻은 것으로 읽히는 대목이 있다. KEC지회 |
특히 이날 KEC지회는 지난해 국가정보원까지 나서 노조를 사찰해 왔음을 드러내는 회사 측 문건을 폭로하기도 했다. 문건의 제목은 ‘직장폐쇄후 상황일지’로 지난해 7월 3일부터 12월 13일까지 날짜별로 노조 측 동향을 상세히 기록해 놨다.
지난해 11월 10일과 11일 일지엔 “관리자 비상대기(4공장 점거 정보-국정원)”이라고 적혀 있다. 회사가 국정원으로부터 노조 측 동향을 보고 받은 것으로 읽히는 대목이다. 기자회견 참가자들은 “지난달 27일 이미경 의원이 폭로한 회사와 노동부 공조 의혹에 이어 국정원까지 개입된 사실이 밝혀졌다”고 주장했다.
참가자들은 “기업들이 기술개발과 신규투자, 생산에 전념하기보다 노조파괴로 반사이익을 챙기는 데 혈안이 되도록 만든 것은 이명박 정부의 노조법 개악 때문”이라며 타임오프제도와 복수노조 창구단일화제도 폐기를 촉구했다.
이들은 또 “자본의 공격에 맞서 싸우던 노동자들은 부지기수로 구속됐지만 노조파괴를 위해 동원된 폭력깡패와 이를 사주한 사업주는 아무도 구속되지 않았다”며 KEC, 발레오만도, 상신브레이크 대표에 대한 구속 수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