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위원장 박유기)가 성폭력 논란에 휩싸였다. 김아무개 사무처장이 가해자로 지목되면서 파문이 커지고 있다. 노조는 3일 이에 대한 공식입장을 발표한다.
2일 노동계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김현미 노조 여성부위원장에게 성폭력 사건이 접수됐다. 피해자는 김 사무처장을 가해자로 지목하며, 노조에 △가해자 사퇴와 활동 정지 △가해자의 공식사과 △피해자 신분보장 등을 요구했다. 노조는 지난 1일 오후 중앙집행위원회를 열고 “피해자의 요구사항을 가감 없이 수용한다”고 결정했다. 또 3일 오전 가해자의 공개사과문과 박유기 위원장의 공식입장을 발표하기로 했다. 김 사무처장은 사건 접수 다음날인 지난달 27일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입장을 노조에 전달한 상태다.
노조는 그러나 지난달 26일 대전의 한 노래방에서 성폭력이 발생했다는 일부 언론보도에 대해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다만, 피해자 신분이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구체적인 사건경위는 공개하지 않았다. 민주노총도 김 사무처장이 민주노총 전 간부의 성폭행 미수사건 당시 진상조사위원장으로 활동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 같은 노조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이번 사건의 파장은 갈수록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노총 전 간부의 성폭력 사건이 있은 지 불과 1년6개월여 만에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올해 1월부터 금속노조 내부에서 논란이 돼 온 한 지역지부 남성간부의 언어폭력건까지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불미스러운 사건이 이어지자 노동계의 도덕성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다시 등장하고 있다.
한편 노조는 이달로 예정된 총파업을 계획대로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노조는 4일까지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벌인 뒤 쟁의권이 확보되는 8일 이후 본격적인 파업투쟁에 돌입한다. 9·11·15일 각각 주야 4시간 파업을 벌이고, 16~17일 주야 6시간 파업을 진행한다.
하지만 노조를 향한 각계의 여론이 차갑게 돌아설 경우 투쟁계획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노조 핵심 간부가 가해자로 지목된 상황이기 때문에 현 집행부의 지도력 누수현상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