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번로그인 |로그인|사이트맵
 
  

9월 23일 화요일00:41:01


자유게시판 게시판 > 자유게시판

총 게시물 17,017건, 최근 9 건
   

[이명수의 사람그물] 한상균이 옳다

글쓴이 : 한겨레 날짜 : 2016-07-12 (화) 21:41 조회 : 2129  010-****-****

[이명수의 사람그물] 한상균이 옳다

등록 :2016-07-11 21:01수정 :2016-07-11 21:04
 
이명수
‘치유공간 이웃’ 대표
새끼가 눈앞에서 살육당하는 광경을 바라볼 수밖에 없는 어미는 애간장이 타 죽는다. 영화 <베테랑>에서처럼 아비가 무자비하게 구타당하는 광경을 강제로 목격해야만 하는 어린 아들은 제정신일 수 없다. ‘정의는 내가 정한다’는 가진 자들의 억지 틀에 맞춰 을로 살 수밖에 없는 억울한 시간들은 지옥도다. 속수무책이란 그런 것이다. 무력감이 극대화된다. 벌레만도 못한 존재라는 모멸감이 몰려온다. 살 가치도 살 힘도 없다고 느낀다. 민주노총 한상균 위원장에게 선고된 5년의 징역형을 목도하면서도 그런 속수무책의 심정이었다.
경찰은 소요죄 적용을 검토하는 등 무리수를 두었고 검찰은 존속살인죄에 버금가는 징역 8년을 구형했으며 법원은 호흡 잘 맞는 전문가들처럼 예상도 못한 중형을 선고했다. 한상균은 말할 기회조차 얻지 못한 채 방청석을 쳐다보며 법정에서 끌려나갔다. 법 기술자들이 활개치던 30년 전 독재정권 시대의 에피소드가 아니다. 불과 일주일 전 우리 눈앞에서 벌어진 일이다. 인권단체인 앰네스티 조사관은 이번 판결에 대해 부당하고 부끄러운 일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 땅의 시민들은 거기에 더해 참담하다. 무력감이 구정물처럼 온몸을 뒤덮는 느낌이다.
모든 판결에는 크든 작든 당사자들의 억울함과 분노가 짝패를 이룬다. 드러난 현상만이 아니라 내 마음속 동기까지 알아차리는 법관을 만나 수긍할 만한 죄과를 받는 일은 불가능에 가깝다. 그와 관련한 판사들의 직업적 고충을 이해 못할 바도 없다.
하지만 이번 판결은 한마디로 틀려먹었다. 역사상 첫 조합원 직선 투표로 선출된 민주노총 위원장에게 민중 총궐기를 선동했다는 이유로 사회적 지탄을 받는 흉악범과 맞먹는 중형을 선고했다. 알파고 같은 판결 기계의 판단이라면 ‘그나마 법의 논리는 정확했겠지’ 실소하며 결점을 보완할 대책이라도 세울 것이다. 이건 상식도 없고 논리도 편협해서 사람을 무기력하게 만든다.
발달 단계마다 한 사람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결정적 존재’라 한다. 처음엔 부모였다가 그 후엔 선생님으로 친구로 상사로 이동하기도 한다. 갓 태어난 오리가 눈을 떠 처음 본 진공청소기를 엄마로 생각하고 일생 동안 애착을 갖는 건 가장 무기력한 순간에 마주한 존재라서 그렇다. 검사나 판사는 인간 사회에서 늘 결정적 존재다. 내가 가장 무기력한 순간에 만나는 사람들이라서 그렇다. 나를 감옥에 보낼 수도 있고 심지어 합법적으로 내 목숨을 앗아갈 수도 있다. 그런 마지막 보루가 공정하지도 않고 상식적이지도 않으며 게다가 알파고보다 못한 법 기술자라는 생각이 들면, 천하장사라도 살 떨릴 수밖에 없다.
요즘은 초등학교 교사들까지 아이들의 무력감이 심각하다고 한탄한다. 본래 무기력은 아이들의 정서가 아니다. 가히 무기력이 국민감정이라 할 만하다. 이런 무기력을 양산하는 핵심이 잘못된 검사와 판사라고 나는 생각한다. 이 사회에서 가장 결정적인 존재임에도 본인이 그 사실 자체를 깨닫지 못하거나 알면서도 그걸 어떤 목적의 수단으로 사용한다면 그것만큼 중죄에 해당하는 게 어디 있나.
오랜 해고자 후배가 판결 직후 한상균의 아내와 이런 대화를 나눴다고 썼다. “형수 걱정 말아요. 상균이 형 2심에서 2년형으로 감형될 거예요.” “그러게. 얼마 전 군대 간 아들 면회 한번 가면 좋겠다.” 그러다 서로 눈물이 솟구쳤다고 했다. 개인적 인연이 깊어서 그들이 얼마나 강인한 사람들인지 잘 아는 나도 읽다가 함께 목이 메었다. 무죄임을 알면서도 2년으로 감형될 거란 말을 위로라고 주고받아야 하는 이런 무기력한 상태를 조장하는 자들은 한낱 법 기술자에 불과하다. 이번 판결에선, 한상균이 옳고 그들은 틀렸다.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체크하면 글쓴이만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수문자
hi
   
QR CODE

총 게시물 17,017건, 최근 9 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 또는 댓글에 대한 삭제 요청 안내 관리자 2024-11-19 54501
 노동조합 질문은 게시판 목록 중 "조합원이 묻고 노동조합이 답… 관리자 2024-10-10 60245
 자유게시판 이용관련 관리자 2024-06-10 64769
12202  전여옥 "박근혜, 권력에 대한 집착·이해도, 상상하기 어려워" 포커스뉴스 2016-12-09 3295
12201  <김어준의 뉴스공장>표창원 - 탄핵 부결되면 소속 의원 전… tbs 교통방송 2016-12-09 3197
12200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 “한상균 위원장 석방” 탄원서 제출 항소심 선고13일 2016-12-09 3190
12199  12월 8일 (목) 뉴스룸 다시보기 1부, 2부 손석희앵커 2016-12-09 3136
12198  손석희 “최순실 태블릿 입수경로 의혹? 기가 막힌다” 미디어오늘 2016-12-09 2474
12197  KBS 양대 노조, 총파업 돌입…방송제작 차질 예상 한국일보 2016-12-09 3244
12196  최소 201표+α 전망…‘숨은 탄핵파’ 동참이 막판 변수 한겨레 2016-12-09 4208
12195  9시 45분 현재, 탄핵 가결 정족수 '6표' 넘어섰다 +1 오마이뉴스 2016-12-09 3074
12194  검찰의 칼날을 너무 좋아하지 말라 구조조정 시작 2016-12-09 2360
12193  공개채용 또는 직훈생 채용을 합시다! +2 공개채용 2016-12-09 2634
12192  직원사찰감시 이대로 좋은가? 하희근 2016-12-08 2650
12191  발탁채용없애고 옛날처럼 직훈생 먼저 채용하자. +2 조합원 2016-12-08 2334
12190  야2당 159명,'탄핵안 가결'에 의원직 건다 (현재 상황… 탄핵찬성186 2016-12-08 3166
12189  기술교육생 우선채용기회주세요 +1 박두원 2016-12-08 2303
12188  당황한 김기춘... 박영선 "거짓말하지 마세요 강추동영상 2016-12-08 3254
처음  이전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28  329  330  다음  맨끝